건강에 진심인 그녀가 라떼 대신 믹스커피 먹는 이유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86회 작성일 22-09-21 10:06본문
믹스커피가 몸에 매우 안 좋으리라 짐작하고 하는 사람이 많다. 놀랍게도 믹스커피보다 커피전문점에서 판매하는 시럽을 첨가한 라떼가 영양학적으로 더 건강에 안 좋다.
한국소비자원이 바닐라, 캐러멜 등 시럽을 첨가한 커피류 29개 제품을 조사했더니, 1컵당 평균 37g(최소 14~최대 65g)의 당류가 함유돼 있었다. 평균 열량은 285kcal(최소 184~최대 538kcal)였다. 반면 믹스커피 한 잔에는 약 5g의 당류가 들어가 있고, 칼로리는 평균 30kcal 정도다. 무려 약 7배 정도 차이 나는 수치다.
커피전문점 라떼가 믹스커피보다 포화지방 함량도 더 높다. 360mL를 기준으로 라떼에는 포화지방이 약 7g 들었지만, 커피믹스 한 봉지에는 1.2g 함유돼 있다. 게다가 라떼 속 포화지방이 더 몸에 안 좋은 종류다. 라떼에는 주로 탄소가 12개 이상 길게 연결된 포화지방(장쇄지방산)이 들어가 있는데, 이런 지방산은 장에서 중성지방으로 변해 혈관, 간 등에 쌓인다. 과다섭취 하면 암, 심혈관질환, 비만, 당뇨병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커피믹스에 들어있는 프림은 야자유가 원료로, 연결된 탄소가 8개 미만으로 짧은 지방산(단쇄지방산)이라 장쇄포화지방보다 체내 흡수가 잘 되고 에너지로 전환도 잘 된다.
커피전문점 라떼가 믹스커피보다 포화지방 함량도 더 높다. 360mL를 기준으로 라떼에는 포화지방이 약 7g 들었지만, 커피믹스 한 봉지에는 1.2g 함유돼 있다. 게다가 라떼 속 포화지방이 더 몸에 안 좋은 종류다. 라떼에는 주로 탄소가 12개 이상 길게 연결된 포화지방(장쇄지방산)이 들어가 있는데, 이런 지방산은 장에서 중성지방으로 변해 혈관, 간 등에 쌓인다. 과다섭취 하면 암, 심혈관질환, 비만, 당뇨병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커피믹스에 들어있는 프림은 야자유가 원료로, 연결된 탄소가 8개 미만으로 짧은 지방산(단쇄지방산)이라 장쇄포화지방보다 체내 흡수가 잘 되고 에너지로 전환도 잘 된다.

포화지방 섭취는 대사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데, 실제로 믹스커피가 대사증후군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연구팀이 19~64세 남녀 1만1201명을 ▲블랙커피 섭취하는 그룹 ▲믹스커피 섭취하는 그룹 ▲미섭취자 총 세 그룹으로 나눠 대사증후군 관련 지표를 살폈다. 그 결과, 믹스커피를 섭취하는 그룹도 블랙커피를 섭취하는 그룹처럼 대사증후군 관련 지표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믹스커피에는 우유 대신 카제인나트륨이 들어가, 마치 우유가 들어간 듯한 묽은 갈색을 구현한다. 카제인나트륨은 우유 속 단백질 성분인 카제인과 나트륨을 합성해 만든 물질로, 하루 섭취 허용량이 정해져 있지 않을 정도로 안정성이 입증된 첨가물이다. 유럽, 뉴질랜드, 미국에서는 식품으로 분류돼 있으며, 국내에서도 유아용 과자, 건강식품 등에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커피믹스를 물에 탈 때 포장지를 티스푼처럼 사용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 포장재에 코팅 인쇄된 성분이 뜨거운 물에 녹아 믹스커피로 흘러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믹스커피에는 우유 대신 카제인나트륨이 들어가, 마치 우유가 들어간 듯한 묽은 갈색을 구현한다. 카제인나트륨은 우유 속 단백질 성분인 카제인과 나트륨을 합성해 만든 물질로, 하루 섭취 허용량이 정해져 있지 않을 정도로 안정성이 입증된 첨가물이다. 유럽, 뉴질랜드, 미국에서는 식품으로 분류돼 있으며, 국내에서도 유아용 과자, 건강식품 등에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커피믹스를 물에 탈 때 포장지를 티스푼처럼 사용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 포장재에 코팅 인쇄된 성분이 뜨거운 물에 녹아 믹스커피로 흘러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